반응형

10월 3일은 대한민국의 법적 공휴일로 정해진 의미 있는 날입니다. 오늘은 개천절에 대해  개천절의 의미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개천절 기념식’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개천절이란?

단군이 최초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한 날을 기리는 날로 10월 3에 제정된 국경일이다. 개천절은 본래의 뜻을 엄밀히 따져본다면 단군조선의 건국일을 말하기보다, 천신인 환인의 뜻을 받아 환웅이 처음 하늘을 열고 태백산의 신단수 아래로 내려와 신시를 열어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대업을 시작한 날인 음력 10월 3일을 지칭하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개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을 축하하는 국가적 경축일인 것과 동시에 문화민족으로 새로운 탄생을 축하하며 하늘에 감사하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 명절이라고 볼 수 있다.

개천절을 민족의 전통 명절로 기리는 행사로서 제천행사를 통해 시행되었고, 고구려의 동맹, 부여의 영고, 예맥의 무천 등의 행사와, 마니산의 제천단, 구우러산의 삼성사 등 각각 행하여진 제천행사에를 좋은 사례로 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민족은 10월을 한 해 농사를 추수하고 햇곡식으로 제상을 차려 감사한 마음으로 제천행사를 시행하는 달로 귀하게 여겼고, 3일의 숫자 3을 길수로 여겨왔다고 하여 개천절의 본래 뜻을 보다 더 분명히 한다고 볼 수 있다. 개천절이라고 이름 지은 것은 대종교에서 비롯했다. 1909년 1월 15일 서울에서 나철을 중심으로 대종교가 다시 부흥하게 되자, 개천절을 경축일로 정하고 매년 행사를 시행해 오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개천절 행사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데 기여했고, 상해임시 정부 시절에는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해 경하식을 시행했다. 또한 충칭 등 지역에서 대종교와 합동으로 축하 행사를 시행하기도 했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 이를 계승하여 개천절을 국경일로 공식 제정하고, 경축식전에서 부르던 대종교의 ‘개천절 노래’를 현행 노래로 바꾸게 되었다. 원래 개천절은 음력 10월 3일이기 때문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음력으로 지켜왔으나, 1949년 문교부의 ’ 개천절 음, 양력 환용 심의회‘의 회의 결과 음, 양력 환산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고 판단해 1949년 10월 1일에 공포된 ’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음력 10월 3일을 양력 10월 3일로 바꾸어서 거행하게 되었다. 그래서 대종교에서 시행하던 경하식은 국가적 행사에 맞춰 양력 10월 3일에 시행하게 되었고, 제천의식의 경우 전통적 선례에 따라 음력 10월 3일 상오 6시에 행하게 되었다. 개천절은 정부를 비롯해 일반 관공서 및 공공단체에서 시행하는 경하식과 다르게, 실제 여러 단군 숭모단체들이 주가 되어 마니산의 제천단, 태백산의 단군전 등에서 제천의식을 시행하고 있다.

마치며

오늘은 이렇게 개천절의 유래와 의미를 알아보았습니다. 법정 공휴일이면서 5대 국경일로 지정된 만큼 개천절의 정확한 뜻과 의미를 기려야 하는 날로 인식되길 바라며 이번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